본문 바로가기

조경 에 관하여

옥상녹화 세덤(SEDUM) 신공법

 

  옥상정원 옥상녹화 세덤(SEDUM) 신공법

옥상녹화의 필요성
 


현대도시는 도시의 팽창과 더불어 녹지는 서서히 줄어들고 도심에서 건물이 차지하는 면적은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도시는 회색빛 콘크리트 건물으로 변해가고 도시의 경관은 파괴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콘크리트에서 내뿜는 복사열은 지구의 온난화 현상을 초래하였고 공중에서 내려다보는 도심의 옥상공간은 거대한 인공물로서 생태적인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쓸모 없는 공간으로 되어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도 80년대 초에 이러한 도시 미관을 복구하고자 옥상녹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졌고 몇몇 빌딩에서는 옥상녹화를 시행하였으나 옥상녹화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유명무실하게 오늘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옥상녹화는 도시환경의 열악해짐에 따라 도시내 자연성의 도입만이 궁극적인 해결책으로 인식하며 각 나라에서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건축밀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녹화공간이 부족함을 인식한 일본과 독일에서 옥상녹화가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2000년 6월 20일 건설교통부 고시 제 2000-159호에 의하면 옥상녹화 및 인공지반에 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법률적으로 권장하고 있으나 기존의 옥상녹화보다는 세덤류에 의한 경량형 옥상녹화의 필요성이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면 옥상녹화는 도시의 열섬화 현상, 도시미기후의 조절, 소음감소효과 등 여러모로 이로움을 주며 본 세덤에 의한 옥상녹화는 에너지절약 및 기타 생태적인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세덤옥상녹화의 내용
 
1) 세덤옥상녹화의 요약 및 범위


옥상지붕에 단열재를 깔고 단열재의 상단에 후로링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공기층을 설치하며 후로링의 상부에 방수처리를 한 후 세덤블럭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친 뒤에 그 속에 배수용 세라소일과 부직포를 설치한 후 상토를 덮고 세덤류를 식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덤류는 경량형 옥상녹화의 대표적인 방
 

사진 1. 공공건물의 옥상녹화

사진 2. 공장건물의 옥상녹화

사진 3. 주택의 옥상녹화


법으로 세덤류는 보통 초장이 낮은 다육질의 식물로 강한 내건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식물이 생육하지 못하는 척박하고 건조한 토양에서도 뿌리를 내려 생육이 가능한 종류이며, 3∼10㎝ 정도의 초장을 갖고 뿌리는 3∼5㎝ 정도 밑으로 내리고 옆으로 뻗어나가며 다육질로 몸안에 수분을 저장하여 건조지역에서도 생명력을 유지한다. 이렇게 사용되는 세덤류는 관리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풍토에 알맞은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세덤옥상녹화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① 옥상녹화에 있어 공기층을 설치함으로서 도시내의 복사열을 차단하여 에너지절약형의 시스탬이다.

② 세덤류의 원활한 생육과 도시미기후의 조성, 원활한 배수 등을 위하여 개발된 세덤블럭을 이용하여 옥상녹화에 응용한 기술이다.

③ 옥상에 환경친화적으로 녹화하는 기술으로서 옥상지붕에 단열재를 깔고 단열재 상단에 후 로링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공기층을 둠으로서 외부온도의 차단과 열손실을 방지하여 에너지절약에 일조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상부에 방수쉬트를 깔고 세덤블럭을 설치한 후세라소일과 부직포, 상토를 깐 후 세덤을 식재하여 식물생육 면적을 확보하여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는 옥상녹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진 4. 주택옥상, 공장건물의 옥상녹화 

2) 시공

본 시스템은 경량형 녹화공법으로서 기존 건축물의 옥상녹화에 주로 응용되며 구조체에 미치는 하중의 부담이 적고 시공과 관리에 있어서 노력과 비용이 적게 든다. 이 공법은 살수, 시비, 전정 등의 유지 관리가 필요 없으며 1년에 한 두 번 정도의 관리로도 충분하다.

이러한 경량형 옥상녹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식물은 극한적인 자연조건하에서도 생장가능한 식물이어야 하며 장기간의 건조기 및 혹한에 견딜수 있는 선태류, 식물체가 다육질인 세덤(SEDUM)류, 특정한 잔디류 등을 사용한다.

시공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지붕위에 각재(50×100)를 30㎝간격으로 설치한 다음 단열재를 THK 50 포설한다.

② 단열재위에 공기층을 두며 넓은 공간 조성시 에는 필요에 따라 환기구를 설치한다.

③ 공기층 위에 후로링을 설치하고 방수쉬트로서 마감한 후 가로 57㎝, 세로 38㎝, 깊이 8㎝인 HDPE로 제작한 세덤블록을 설치 한다. 세덤블럭은 강우시 5㎝까지 세덤블록속에 물이 고이면 자연배수가 가능하도록 배수공이 뚫려 있다.

④ 깊이 8㎝에 세라소일을 채우고 그 위에 얇은 부직포를 깐 후 특수 상토를 포설 하고 그 위에 세덤을 식재한다.

그림 1. 새덤옥상녹화 단면도

옥상녹화의 기대효과 및 활성화 방안
 
1) 옥상녹화의 기대효과

① 옥상의 녹지율을 50%로 높일 경우 열섬화현상(도시중심부가 도시외곽지역보다 평균기온이 높아지는 현상)으로 나타나는 기온차이를 약 3℃가량 줄일 수 있으며 열손실방지에 따른 에너지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② 옥상과 같이 인공지반과 벽면에 식물을 식재할 경우 단열재를 설치한 콘크리트슬라브와 비교해 볼 때 단열효과가 높고 바닥면의 온도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③ 기존의 일반적인 지붕과 비교할 때 녹화된 지붕은 수명이 2배 이상 연장 된다.

④ 녹화된 지붕은 낮과 밤, 계절별 지붕의 표면 온도 변화폭을 줄여주고 자외선으로부터 지붕표면을 보호하여 건축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단열효과로 냉·난방비를 줄일 수 있다.

⑤ 경량형 녹화공법의 경우 비용면에서 콘크리트 지붕위에 자갈을 까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이다.

⑥ 옥상조경의 생태적 효과 기후조절작용, 수자원의 보전, 공기의 정화, 소음의 흡수, 생물서식공간으로서의 가치, 휴식공간으로의 가치가 있다.

사진 5. 지붕수평의 2배 연장

2) 옥상녹화의 퐐성화 방안

① 옥상녹화는 부족한 도심지 녹지확보를 위해 사업을 전개하면서 우선 불량한 옥상을 일제 유효한 수단으로 반드시 권장하고 활성화 해야할 분야라는 시민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② 단일건물보다는 일정규모의 모델지구를 지정하여 시범추진한 후에 효과를 홍보하면서 확대시행해 나간다.

③ 시공시 급배수와 방수처리 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려 나가도록 적극적인 기술지원과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④ 시 차원에서 앞장서서 공공청사에 대한 시범상업을 전개하면서 우선 불량한 옥상을 일제 정비하여 먼지를 저감 할 수 있도록 행정지도를 강화해 나가고 옥상조경이 가능한 현황을 정밀조사한 후 장기계획을 수립하여 연차적인 확대/추진한다.

그림 2. 경사진 지붕의 배수처리

세덤옥상녹화의 효과

 
1) 에너지절약 효과

옥상녹화는 기존의 비녹화 지붕에 비해 열전도율이 낮아 외기온도가 전달되는데 지연효과를 가져오므로 외기온도처럼 급변하지 않고 서서히 변화하여 결국 건물의 에너지절약에 상당한 효과를 가져다 준다.

2) 지구의 온난화 해결

도시내의 포장율 및 도로율의 증가로 열대야, 열섬현상을 야기하고 있으나 옥상녹화의 식생층으로 인하여 지붕표면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며 오존층보호로 인하여 온난화를 해결할 수 있다.

사진 6. 지붕표면의 온도상승억제


3) 도시의 습도유지

옥상녹화는 대기중의 수분을 증발시켜 공기 중 적정습도를 유지하므로서 온도조절기능을 가지며 대기중에 증발된 귀중한 습기가 자연적인 순환법칙에 따라 비가 되는 과정을 거쳐서 도시 습도유지에 도움을 준다.

그림 3. 옥상녹화의 공기순환

그림 4. 오존층의 보호로 온난화 해결

사진 6. 주택지붕의 녹화된 상태

 


4) 신선한 공기 공급

식물 생육 면적 확보로 인하여 도시내에 공기순환 및 신선한 공기를 제공한다.


5) 지붕의 내구성

SEDUM지붕을 가진 지붕은 그렇지 않은 지붕보다 3배의 내구성 보장한다.

사진 8. 공공건물의 옥상녹화

6) 도시경관 연출

삭막한 도시에 꽃과 녹색환경을 제공함으로서 쾌적한 도시경관을 연출한다.

7) 용이한 관리

옥상환경조건에 잘 적응하는 SEDUM류를 식재하여 저관리로도 잘생육한다.생육한다.

 

 

 

사진 9. 주택옥상과 공장옥상 녹화는 관리가 필요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