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만들어진 뻬치카 화로
각북면에 둥지까페 남근 조각작품
여자의 은밀한부분과 닮은 바위 - 이때문에 남근 조각작품들이 많은듯...
용천사(湧泉寺)는 청도군 각북면 비슬산(琵瑟山)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 동화사의 말사이다.
“...청도 각북 용천사 가는 길,
산 능선을 타고 건장한 송전탑들 이어지고 비탈을 타고 내려오는 진달래 꽃불,
저를 한 마리 꽃소로 만드는 것도 산은 알지 못한다...”
(이성복, 「호랑가시나무의 기억」중에서 )
맑고 깨끗한 계곡을 따라 비슬산 헐티재를 넘어 용천사 가는 길은 시인의 눈을 사로잡을 만큼 아름답다.
산 능선을 타고 구비구비 산길을 넘어가면 길가에 천년 고찰 용천사가 아담하게 자리하고 있다. 비슬산 동쪽 기슭에 자리잡은 용천사(湧泉寺)는 신라 문무왕 10년(670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해동화엄전교(海東華嚴傳敎)의 10대 사찰 중 한 곳이다. 화엄 십찰은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수행하고 돌아와 세운 사찰인데 최치원(崔治遠)이 쓴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과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史)』에 절 이름이 나온다.
『법장화상전』에 의하면 태백산 부석사(浮石寺), 원주 비마라사(毘摩羅寺), 가야산 해인사(海印寺), 비슬산 옥천사(玉泉寺), 금정산 범어사(梵魚寺), 지리산 화엄사(華嚴寺), 팔공산 미리사(美理寺), 계룡산 갑사(甲寺), 웅주 가야협 보원사(普願寺), 삼각산 청담사(靑潭寺) 10개 사찰을 말한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이중 부석사와 비마라사·해인사·옥천사·범어사·화엄사 6개 사찰만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 사찰은 의상대사가 전파한 화엄사상을 널리 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불교 전성기에는 승려가 천여 명이나 되었고 주변에 자리잡고 있던 암자들은 백련암, 청련암, 일련암, 남암, 서암, 내원암, 부도암 외 47개의 암자가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오랜 세월 속에 모두 없어져버렸다.
이미 24명의 도인이 나왔고 앞으로 104명의 도인이 나올 것이라는 설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 중 3중창(1631년) 때의 것은 문화재로 지정된 대웅전만 남아 있고 다른 건물은 근대에 세워진 것이다. 고려 원종 8년(1267년) 일연 선사가 중창하여 불일사(佛日寺)라 칭하였다가 다시 용천사로 고치고, 임진왜란 후 인조 9년(1631년) 조영대사(租英大師)가 3중창하였으며 순조 5년(1805년) 의열 화주가 크게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유물로서는 법당의 삼존불, 후불탱화, 나한십육존불, 영탱, 석조물 등이 있으며 불을 밝히는 데 사용하였던 정료대가 남아있고 절 오른쪽 골짜기에 고승들의 부도(浮屠) 6기가 이 절의 역사를 대변해주고 있다. 용천사라는 이름은 맑고 풍부한 석간수가 끊임없이 용솟음쳐 흘러내리고 있어 용천(湧泉)이라 부쳐진 것이라고 전한다.
이 용천의 샘물은 가물 때나 장마가 질 때도 늘 일정한 양의 맑은 물이 흐르고 사철 마르지 않으며 한겨울에도 어는 법이 없다고 한다. 1300년 전에도 흐르던 이 샘물은 지금도 여전히 중생들의 감로수가 되어 우리의 마른 목을 축여주고 있다.
의상대사가 창건한 절로 47개의 암자에 3천명의 승려가 수도했었다니
꽤 큰 사찰이었던듯 싶다.
입구에 작은 연못이 있고 비단잉어들이 노닐고 있었는데
용천사의 전설과 연관이 있어 키우고 있는듯 싶기도
경내 우물이 있는데 언제나 일정한 양의 물이 솟고 천년된 물고기와 오백년된 물고기가 살고 있었다고...
청도 용천사 대웅전(淸道 湧泉寺 大雄殿)은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오산리, 용천사에에 있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이다.
1996년 7월16일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295호로 지정되었다.
나야 나 !!!!!
'여행 가볼만한 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09.02 다부동 전투 군위 (0) | 2017.09.02 |
---|---|
2018.08.31 합천 영상테마파크 세트장 (0) | 2017.08.31 |
2017.08.25 충남 예산 덕숭산 수덕사관광 (0) | 2017.08.27 |
2017.08.13 삼척 애신당공원 태벡 구문소 (0) | 2017.08.14 |
2017.08.07 청도 군자정 유등지 연꽃밭 고성이씨세거지 (0) | 2017.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