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무․배추 파종 및 정식
◇ 무
o 파 종
- 가을무 재배 시 씨뿌리는 적기
중 부 |
중남부 |
남 부 |
8.20~25 |
8.25~30 |
9.1~5 |
- 10a당 파종량 : 점뿌림 1ℓ, 줄뿌림 2ℓ
- 씨뿌림 거리
구 분 |
이 랑 나 비 |
포 기 사 이 |
보통품종 |
60~75cm |
24~30cm |
재래종, 뿌리가 작은 품종 |
45~60 |
20~24 |
o 솎 음
횟 수 |
씨뿌린 후 일수 |
모의 크기 |
남기는 포기수 |
1회 |
1일 |
떡잎 때 |
3주 |
2 |
10 |
본잎 2~3매 |
2 |
3 |
15 |
본잎 4~5매 |
1 |
※ 노동력이 부족하여 1회만 솎을 때는 본엽 4~5매시 무 애기뿌리가 터질 때 함
◇ 배 추
o 파 종
- 가을배추 파종적기
|
가을배추 |
늦가을배추 |
월동배추 |
시 기 |
8월 |
9월상순 |
9월중순 |
지 역 |
전 국 |
남부해안 |
남부해안 |
비 고 |
김장 및 저장용 |
김장용 |
추대전 수확 |
- 10a당 씨뿌리는 양 : 모 길러 재배할 때 0.7㎗, 곧뿌림 재배할 때 : 점뿌림 2dℓ
o 모기르기
- 모판흙은 가능한 사용 6개월 전에 만들어 사용
- 모판면적 : 26~33㎡/10a
- 모기르는 방법
․ 어린모의 집중관리, 초기 재해예방 등으로 안전생육이 가능하고 토지 이용도를 향
상시킬 수 있으므로 모를 길러 재배하는 것을 확대하고, 가급적 폿트에 모를 길러
야 함.
- 10a당 폿트 수 : 4,000~4,500개
․ 모를 기를 때는 반드시 망사로 터널을 설치하고, 2~3회 진딧물 방제
- 농약을 살포할 때는 망사를 걷고 뿌리고 끝나면 즉시 망사를 씌워줌
- 물을 줄 때는 망사를 걷지 말고 망사 위에다 물뿌리개로 물을 줌
- 연결폿트 사용 시는 25공 연결 폿트를 사용하나 모 사이가 좁아 불량묘가 육성되므로 16공 이하 되는 연결 폿트를 사용
- 공장육묘장에서 생산하는 플러그묘를 사용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음.
o 정 식
- 정식에 알맞는 모의 기준 : 15~17일 정도 기른 본잎 3~4매인 모
- 묘가 너무 크면 아주 심은 후 뿌리내림이 더디어 초기생육이 불량해짐
- 심는 거리
․ 조생종 : 60×35~40cm(4,360~4,170주/10a)
․ 중생종 : 60×40~45cm(4,170~3,700주/10a)
․ 만생종 : 65×40~50cm(3,170~2,860주/10a)
- 아주심기 전후 물주기 실시
- 모판에 심겨졌던 깊이대로 심음(너무 깊거나 얕지 않게 심음)
□ 무사마귀병 방제요령
○ 병원균 및 병징
- 변형균에 속하는 병원균으로 학명은 Plasmodiosphora brassicae 임.
- 뿌리에 크고 작은 혹이 생기고 지상부는 시들어 고사함.
- 배추․무․양배추와 같은 십자화과 채소의 뿌리에 크고 작은 여러 개의 혹이 생기고
잎이 작아지면서 점점 시들어 죽게 되는 병으로서 뿌리혹병이라고도 함
- 발생이 잘되는 조건
- 논 토양보다 밭 토양에서 많이 발생
- 비가 자주 내릴 때나 물 빠짐이 나쁜 토양
- 이어짓기를 하거나 지난해에 병이 발생되었던 포장
- 가장 좋아하는 온도는 25℃ 내외
- 가장 좋아하는 토양산도는 pH6 내외
- 강한 광선을 받을 때와 일장이 길 때
○ 병원균의 점염경로
- 토양전염 : 토양속에 장시간 생존(7~10년)
- 이병잔사물 : 뿌리혹 속에서 휴면포자의 형태로 월동
- 병원균이 형성하는 유주자가 뿌리털이나 피층의 상처를 통하여 침입
- 수매전염 : 관개수나 하천범람으로 병원균 이동
- 농기계 또는 농기구에 묻은 흙에 의하여 이동
- 사람이나 동물의 몸에 묻어 이동
- 풍매전염 : 바람에 날리는 미사의 이동에 따라 전파
○ 방제대책- 무 배추 저항성 품종재배
※ 병원균의 생리형태와 환경조건에 따라 저항성이 달라질 수 있음.
- 무․배추․양배추와 같은 십자화과 이외의 작물 6년 이상 돌려짓기
- 지난해 병이 많이 발생되었던 포장 재배 지양
- 깨끗한 무병상토 이용 육묘
- 무사마귀병에 걸린 포기 등 전염원 제거
- 물빠짐이 잘 되도록 높은 이랑재배나 물 뺄 도랑 정비
- 토양개량 : 10a당 유기물 2,000㎏, 석회 150~260㎏ 시용
※ 토양산도를 pH 7 이상의 알칼리성으로 교정.
- 노지재배 토양은 여름철 2개월 정도 비닐멀칭 태양열소독
- 시설재배 토양은 90℃의 증기로 5시간정도 증기소독
- 논토양은 휴경기 물을 담아두어 병원균 밀도를 낮추어 줌
- 병든 포장에서 사용한 농기계는 깨끗이 닦은 후 다른 포장 사용
※ 무사마귀병은 땅속의 병원균 밀도를 낮추는 것이 가장 중요
○ 약제 사용방법
- 혹안나 분제 20㎏/10a, 후론사이드 분제 40㎏/10a를 정식 전 토양에 잘
섞이게 처리
- 미리카트 액상수화제를 물 1말에 50㎖를 타서 정식전 침지처리
- 탐실 액상수화제를 물 1말에 40㎖를 타서 정식전 침지처리
○ 약제 사용할 때 주의 점
- 토양이 습하면 약제가 토양과 잘 석이지 않으므로 건조후 약제 처리
- 이식할 구덩이에 약제처리는 약해 발생
- 사용량보다 과다 처리는 초기 약해 발생
○ 약제방제 효과
구 분 |
혹 안 나 |
혹안나+석회 200㎏/10a |
후론사이드 |
후론사이드+석회200㎏/10a |
방 제 가(%) |
64 |
74 |
74 |
80 |
상품화율(%) |
75 |
85 |
84 |
86 |
<무사마귀병 저항성 정도>
작목명 |
저항성 (이병율:0) |
중도저항성 (이병율:0.1~10.0) |
감수성 (이병율:10.1이상) |
배추 (12) |
- |
CR싱싱, CR481, CR그린, CR하계, CH208(5) |
CR새로나, DH001, H002, DH003, CR안심, CR파워, TB-801 |
무 (32) |
백광, 백옥무, 토광무(3) |
관동여름, 대부령여름, 서호무, 백단무, 92343, 청운, 백자, 태백, 신지봄, 초봄알타리, 신진주, 새로 운대형무,서광다발무, 하청, 청학, 장성, 백운, 수지, 청옥, 송백, 하추 (21) |
백봉, 동자, 남강, 소춘무, 보람알타리무, 소담알타리무, 동치미무, 한농여름무 (8)
|
<온도별 뿌리혹 형성 소요일수>(’98 농과원)
온 도 |
15℃ |
20℃ |
25℃ |
30℃ |
35℃ |
소요일수 |
28일 |
23일 |
17일 |
21일 |
28일 |